본문 바로가기

힘이 되는 말

1만 시간의 법칙은 틀렸다!!!!

조금 어그로로 글을 시작해 보았습니다. 

오늘부터 하기 싫은 일을 계속 해보려고 합니다. 

이정도되면 뭔지 아시겠죠? (블로그 글쓰기)

 

제가 좋아하는 유투브 채널인 터닝포인트 콘텐츠에서 제 감상평을 위주로 매일 하나씩 적어보려고 합니다.

감상평을 보시고 관심이 있으시다면, 해당 콘텐츠를 보시는 것을 강추 드립니다.

 

  • 오늘 본 영상 제목
  • 3줄 요약
    • 하기 싫은 일을 하라.
    • 1만 시간의 법칙은 틀렸다.
    • 멀티태스킹은 생산성을 현저하게 떨어뜨린다.
  • 상세 요약
    • 1만시간의 법칙은 틀렸다.
      - 그 어떤 일이든 1만 시간을 투자하면 그 분야에 마스터에 오른다.
      - 1만시간의 프레임워크는 정확히 뭘해야하는지 아는 분야에서 코치가 함께 하는 경우 가능하다.
      - 성장이 더뎌지는 순간 플래토

    • 상위 0.1%의 성공만 하는 사람들의 2가지 비밀
      - 탐색(새로운 무언가를 배우는 것>셀수없이 두드린 후 찾으면 하나에 집중>그리고 막히면 또 탐색 시작)과 극한 몰입의 트레이드 오프
      - 만약 한분야에서 플래토에 빠진다면 4가지 패턴을 반복해야 한다.

      그리고 반복하는 4가지 패턴(성찰-계획-모니터-평가)
      - 내가 어떤 목표를 향해 나아가고 있는지?
      - 왜 그 목표를 향해 나아가고 있는지?
      - 그리고 내 성장을 누가 도와줄 수 있으며
      - 그 사람이 나를 도와 줄 수 있도록 내가 할 수 있는게 뭔지?
      결론: 자기객관화를 통한 맞춤 설정을 하면, 1만 시간의 법칙보다 훨씬 빠르게 나아갈 수 있다.

    • 멋있는 말: "우리는 이론이 아닌 현실속에서 진정한 나를 발견한다."

    • 생산성 극대화 방법
      완벽한 하루를 시작하고 싶다면, 끝이 없는 일이 아닌 끝이 있는 일로 시작하라.

    • 멀티태스킹은 생산성을 현저하게 떨어뜨린다.
      멀티태스킹은 전에 하던 일이 가득한 칠판위에 전에 하던 일을 지우지 않고 새로운 일을 하는 것과 같다.(이거 킹정)
    • 한가지 꿀 Tip
      To-do 리스트를 만들때는, 
      너무 많은 일을 적기 보다는, 정확하게 끝낼 수 있는 일만 적으세요.
     

 

'힘이 되는 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모든 꽃이 봄에 피는 것은 아니다.  (0) 2024.02.16